11대 비류왕 ※ 비류왕(比流王)-344 비류왕(比流王) 백제 제11대 왕(재위 304-344)제10대왕 (분서왕(汾西王)이 죽은 후 아들은 있었으나 아직 어렸으므로 제6대 구수왕(仇首王)의 둘째 아들인 비류(比流)가 신민(臣民)의 추대를 받아 즉위 하였다 비류왕은 성품이 너그럽고 인자했으며 힘이세어 활을 잘쏘았다 또 오랫동.. 역사탐방/백제왕기 2009.10.03
10대 분서왕 ※ 분서왕(汾西王) 분서왕(汾西王) 백제 제10대 왕(재위 298-304)책계왕(責稽王)의 맏아들 어려서부터 총명하였고 외모가 준수 하였으므로 왕은 이를 사랑하여 옆을 떠나지 못하게 하였다 어머니는 대방군(帶方郡) 태수(太守)의 딸로서 보과(寶菓)부인이다 부왕(父王)의 뒤를 이어 즉위 하였으며 304년(분.. 역사탐방/백제왕기 2009.10.02
9대 책개왕 ※ 책계왕(責稽王)-298 책계왕(責稽王)백제 제9대 왕(재위 286-298). 청계왕(靑稽王).책찬왕(責贊王)이라고도 하며 고이왕(古爾王)의 아들이다 키가 크고 지기(志氣)가 뛰어났는데 고이왕이 돌아 가므로 뒤를이어 즉위 하였다 비는 대방왕(帶方王)의 딸 보과(寶菓). 즉위하자 위례성(慰禮城)을 수축 하였으.. 역사탐방/백제왕기 2009.10.02
8대 고이왕 ※ 고이왕(古爾王)-286 고이왕(古爾王)백제 제8대 왕(재위 234-286)일명 구이왕(久爾王). 고모왕(古慕王).제4대 개루왕(蓋婁王)의 둘째 아들이며 제5대 초고왕(肖古王)의 아우이다 사실상 고이왕대에 이르러 국가적 체제를 확립 하였는데 삼국사기(三國史記)에의하면 260년(고이왕27)1월에 관제를 재정하여 .. 역사탐방/백제왕기 2009.10.02
7대 사반왕 ※ 사반왕(沙伴王) 사반왕(沙伴王) 백제 제7대 왕 구수왕(仇首王)의 장자(長子). 234년에 구수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나 나이가 어리고 무능하다는 이유로 초고왕(肖古王)의 동생인 고이왕(古爾王)에게 왕위를 빼앗겼다 그러므로 사반왕을 왕 서열에 넣지 않기도 한다. 역사탐방/백제왕기 2009.10.02
6대 구수왕 ※ 구수왕(仇首王)-234 구수왕(仇首王) 백제 제6대 왕(재위 214-234) 일명 귀수왕(貴須王)이라고도 하며 .초고왕(肖古王)의 장남이다 키가 7측이나 되고 위풍이 뛰어나서 남다른 바가 있었다 초고왕이 재위 49년에 돌아가자 뒤를이어 즉위 하였다 216년(구수왕3)사도성(沙道城)에서 말갈(靺鞨)의 군대와 싸워 .. 역사탐방/백제왕기 2009.10.02
5대 초고왕 ※ 초고왕(肖古王)-214 초고왕(肖古王) 백제 제5대 왕(재위 166-214) 소고왕(素古王)또는 속고왕(速古王)이라고도 한다 개루왕(蓋婁王)의 맏아들 167년 신라의 서변(西邊)을 공격하여 2성(城)을 함락시켰으나 신라의 반격을 받았다 그르나 188-190년에 걸쳐 신라의 모산성(母山城). 구양(狗襄). 원산향(圓山鄕). .. 역사탐방/백제왕기 2009.10.02
4대 개루왕 ※ 개루왕(蓋婁王)-166 개루왕(蓋婁王) 백제 제4대 왕(재위 128-166)제3대 기루왕(己婁王)의 아들로 성품이 공손하고 조행이 단정하였다 132년(개루왕5)북한산성(北漢山城)을 쌓았으며 165년(개루왕38)신라에서 아찬 길선(吉宣)이 반역을 꾀하다 실패하자 그의 망명을 받아들이고 신라에 돌려주지 않아 두 나.. 역사탐방/백제왕기 2009.10.02
3대 기루왕 기루왕(己婁王) 백제 제3대 왕(재위 77-128). 다루왕(多婁王)의 맏아들로 의지와 식견이 넓으며 작은일에는 마음을 두지 않았다 30년(다루왕3)에 태자에 책봉되었고 85년 신라의 변방을 공략했으며 105년부터 신라에 사신을 파견하여 화친을 맺었다 125년 말갈(靺鞨)의 침입을받은 신라에 원병을 파견하기도.. 역사탐방/백제왕기 2009.10.02
2대 다루왕 다루왕(多婁王) 백제 제2대 왕(재위 28-77)백제의 시조인 온조왕(溫祚王)의 원자(元子)로 인품이 너그럽고 덕망이 있었다 10년(온조왕28)에 태자로 책봉되었다가 온조왕이 죽자 그 뒤를 이어 즉위 하였다 34년(다루왕6)정월에 원자(元子) 기루(己婁)를 태자(太子)로 세우고 죄수를 대사(大赦)하였고 2월에는 .. 역사탐방/백제왕기 2009.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