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종(睿宗) 1079~1122
고려 제16대 왕(재위 1105~1122), 휘(諱)는 우(吳), 자는 세민(世民), 시호는 문효(文孝), 숙종의 태자로 어머니는 명의왕후(明懿王后)이며 도량이 깊고 유학을 즐겼다 1100년 왕태자에 책봉되고 1105년에 즉위 하였다 초기에는 국위를 떨치려고 하여 문무(文武)양학은 국가교화(國家敎化)의 근원이라 보고 인재를 고르게 양성 하였으며 1108년(예종3) 윤관(尹瓘)에게 여진(女眞)을 경략, 함흥평야에 성을 쌓았다 19년 이후 새로일어난 금(金)나라와 교류를 시작 하였다 학문을 좋아 하여 학교를 세우고 국학(國學)에 7재(齋) - 여택재(麗擇齎) 대빙재(待聘齋), 경덕재(經德齋) 구인재(求仁齋), 복응재(服膺齋), 양정재(養正齋), 강예재(講藝齋) - 를 두었고
양현고(養賢庫) 를 설치하였으며 경연처(經延處)로서 보문각(寶文閣)을 설치하는등 학문의 진흥에 이바지 하였다 지방제도를 경정(更定)하였고 분사제도(分司制度:서경을 부도(副都)라하여 개경과 관아를 나누어 설치한 제도)를 실시 하였다 구료기관(求療機關)으로 구제도감(救濟都監)과 혜민국(惠民國)을 두어 진휼(賑恤)과 시료(施療)를 크게 행하였다 능은 개성의 유릉(裕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