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폐왕 ※ 폐 왕(廢王) -794 발해의 제4대 왕(재위 793-794) 대조영(大祚榮)의 종손(從孫). 문왕(文王)의 족제(族弟) 문왕의 태자(太子) 굉림(宏臨)이 일찍 죽었으므로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평소 시기심이 많고 성품이 포악하여 신하들에게 살해되고 말았다. 자료출처 : 대한민국5000년사 역대왕조실록 역사탐방/발해왕기 2009.09.30
3대 문왕 대흠무 ※ 문 왕(文王) 발해 제3대 왕(재위 737-793)으로 이름은 흠무(欽茂)이며 무왕(武王)의 아들 연호를 대흥(大興)이라 하였고 서울을 용천부(龍泉府) 즉 동경성(東京城)으로 옮겼다 당나라의 제도를 본받아 관직제도를 제정하였으며 사적(史籍)을 수입하고 주자감(胄子監)을 설립하여 문화 발전에 힘을 기울.. 역사탐방/발해왕기 2009.09.30
2대 무왕 대무예 ※ 무 왕(武王) -737 발해(渤海)의 제2대 왕(재위 719-737)으로 성명은 대무예(大武藝)발해의시조인 고왕(高王) 대조영(大祚榮)의 아들로서 고왕의 뒤를이어 즉위한후 연호를 인안(仁安)이라 하였다 일본과 수교(修交)하여 사신왕래와 문물 교환을 자주하였으며 나라안에서는 무력을 양성하여 726년(무왕8).. 역사탐방/발해왕기 2009.09.30
초대왕 대조영 ※ 대조영(大祚榮) -719 발해(渤海)의 시조. 왕호는 고왕(高王). (재위 699-719) 668년 고구려가 망하자 고구려 유민으로서 요하(遼河) 서쪽에 이주하여 당(唐)나라의 억압에 반항하였다 당의 대장군 이해고(李楷固)의 군사를 천문령(天文嶺) 에서 대파하고 말갈족을 규합함으로써 국가건설의 기반을 다졌다 .. 역사탐방/발해왕기 2009.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