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종(成宗) 960~997
고려 제6대 왕(재위 981~997), 휘(諱)는 치(治) 자는 온고(溫古), 시호는 문의(文懿), 태조의 손자 어머니는 선의태후(宣義太后) 류씨(柳氏), 981년(경종6) 경종의 뒤를이어 왕위에 올랐는데 고려시대 역대의 왕 중 명군으로 일컬어지며 내치. 외교에 많은 치적을 남겼다 성종은 거유(巨儒)최승로(崔承老)의 자문을 받아 유교를 국가의 지도원리로 삼고 중앙집권적인 봉건제도를 확립하였다 관제개혁에 있어 중앙에 3성과 6부를 두었으며 사무를 분장(分掌)한 7시를 설치하였다 .
한편 지방에는 처음에 12목(牧)을 설치하였으나 후에 10도(道). 12주(州)로 나누어 다스리는 한편 권농정책을 힘써 행하였다 993년(성종12)에 거란족이 세운 요(遙)나라의 군대가 고려에 침입하자 서희(徐熙)를 요군(遙軍)의 진영에 보내서 외교단판으로 요나라의 군대를 물러가게 하였다 후에 여진족(女眞族)이 차지하고 있던 지금의 평안북도 일대 즉 장흥(長興) 귀화(歸化), 곽주(郭州), 귀주(龜州), 안의(安義), 흥화(興化), 선주(宣州) 등에 성을 쌓아 외적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능은 개성의 강릉(康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