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우항(金宇抗) 1649-1723
이조 숙종 때의 문신. 자는 제중(濟仲). 호는 갑봉(甲峰). 좌은(坐隱). 시호는 충정(忠靖). 본관은 김해(金海). 1669년(현종10)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75년(숙종1) 송시열(宋時烈)을 구하기 위하여 상소하였으나 실패하였다. 81년(숙종7)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 승문원(承文院)에 등용되었다가 전적(典籍)을 거쳐 사간원(司諫院). 사헌부(司憲府). 예조. 병조의 여러 벼슬을 역임 하였다.
89년(숙종15) 기사환국(己巳換局)때 벼슬에서 물러나고 앞서 이상(李翔)을 논구(論救)한 일로 철산(鐵山)에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나왔다. 94년(숙종20) 갑술옥사(甲戌獄事)로 다시 기용되어 시강원사서(侍講院司書)가 되었고 회양부사(淮陽府使). 전라도 관찰사를 역임 하면서 선정(善政)을 배풀었다.
1703년(숙종29) 형조판서. 뒤이어 병조판서. 좌잠찬(左參贊)을 지내고 13년(숙종39)우의정이 되었다. 영중추부사(嶺中樞府使)로서 22년(경종2) 신임사화(辛壬士禍)로 노론(老論) 4대신이 폐출되자 이의 부당함을 항소(抗疏)하였고 김일경(金一鏡)의 사친추존론(私親追尊論)을 적극 반대하다가 화를 입었다. 저서에 <갑봉집(甲峰集)>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