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형왕(仇衡王)
가야 마지막 제10대 왕 성은 김씨감지왕(甘知王)과 출충각간(出忠角干)의 딸 숙(淑)의 아들 재위(521-562). 521년(신라법흥왕8)에 즉위 하여 재위 42년만인 562년(신라 진흥왕23)신라의 공격을 받고 항복 하였다. 왕비는 분즐수이즐 의딸 계화(桂花)로 세종(世宗) 각간(角干 무도(茂刀) 각간(角干) 무득각간(茂得角干)의 세 아들을 낳았다 개황록(開皇錄)에 의하면 신라에 항복한것은 이보다 30년 전인 양(梁)나라 중대통(中大通) 4년으로 되어 있다. 삼국사기에도 개황록과 마찬가지로 법흥왕 19년에 금관국금구해여비급 삼자장왈노종 중왕무덕 이왈무도 이국노보물래강(金官國金仇亥與妃及 三子長曰奴宗 仲曰武德 李曰武刀 以國奴 寶物來康)이라 되어 있다 또 삼국사기의 열전(列傳)제1부 김유신 항에보면 구형을(仇)라 하였고 김유신의 증조부라 하였다 삼국유사에 김유신의 증조부가 세아들을 데리고 신라에 항복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구형과 구해가 동일임을 나타낸다. 자료촐처 : 대한민국5000년사 역대왕조실록